() 


  > 감동/즐거움 > 소설 > 로맨스/사랑    
삼국유사



집필
  • 책자분류 :
  • [한글] 페이퍼북
  • 작가필명 :
  • 일연 지음
  • 책사이즈 :
  • 46배판[B5](532.79 x 728.33)
  • 열람등급 :
  • 전연령
  • 발행상태 :
  • 발행
  • 책이용료 :
  • 무료
  • 최근집필 :
  • 2016/02/23
  • 발행쪽수 :
  • 189 페이지
  • 독자평점 :
  • 0 /10    (포인트참여 0명)
  • 열람회수 :
  • 184 회

    [ 1권 ]


     
    작품 및 작가 소개  

    [ 직지프로젝트 JIKJI.ORG ]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다. 2003년에 조선 초기의 간행본과 중종 임신본이 각각 대한민국의 국보 제306호와 제306-2호로 지정되었다. 삼국유사에는 삼국과 가락국(駕洛國 : 가야)의 왕대와 연대, 고조선 이하 여러 고대 국가의 흥폐·신화·전설·신앙 및 역사, 불교에 관한 기록, 고승들에 대한 설화, 밀교(密敎) 승려들에 대한 행적, 고승들의 행정, 효행을 남긴 사람들의 이야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삼국유사에 실려있는 모든 설화는 삼국 시대의 것이지만, 유동하던 이야기가 고려 시대에 와서 문자로 정착된 것이다. 따라서 흘러다니던 설화의 내용이 일연이라는 개인에 의해 작품화된 셈이므로 고려의 설화문학으로 취급될 수 있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설화의 주제는 주로 신라와 불교를 중심으로 편찬되어 있다. 고대사 연구에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쌍벽을 이루고 있다. 특히 단군 신화를 비롯하여 이두(吏讀)로 쓰인 향가(鄕歌) 14수가 기록되어 있어 국어 국문학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특히, 향가는 《균여전(均如傳)》에만 11수(首)가 수록되어 있을 뿐, 다른 전적에는 전혀 전하지 않기 때문에 향가 연구에서 삼국유사는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제왕운기》와 더불어 단군 신화를 전하는 유일한 기록으로 고려 후기, 대몽항쟁 과정에서 급부상한 단군 신앙과 동족 의식을 반영한다.


    目 次  

      1권 삼국유사(三國遺事)
    전체 5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5권 내에 다시 9편으로 나뉘어 있다. 권수는 편목의 유형에 따라 구분한 것이 아니라 분량에 따라 편의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제1이 왕력과 기이 두 편인데 왕력은 후대에 덧붙여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 제 1권 기이(紀異) 제1 첫 머리에 말한다. 대체로 옛날 성인(聖人)은 예절과 음악을 가..................................................................................................................................................
  • 001쪽 ~ 010쪽
  • 郡) 등을 평주도독부(平州都督府)로 삼고, 임둔(臨屯) ·낙랑(樂浪) 등 두 군(郡)의 땅..................................................................................................................................................
  • 011쪽 ~ 020쪽
  • 와 짐승들이 알을 덮어 주었다. 왕이 이것을 쪼개 보 려고 했으나 아무리 해도 쪼개지지 않..................................................................................................................................................
  • 021쪽 ~ 030쪽
  • 박[匏]과 같았는데, 향인(鄕人)들은 박을 '박(朴)'이 라고도 하기 때문에 성(姓)을 박..................................................................................................................................................
  • 031쪽 ~ 040쪽
  •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 제8대 아달라왕(阿達羅王)이 즉위한 4년 정유(丁酉; 1..................................................................................................................................................
  • 041쪽 ~ 050쪽
  • 사에게 포로로 잡힌 일이 있었다. 이때 항우(項羽)는 주가를 보고 말하기를, '네가 만일 ..................................................................................................................................................
  • 051쪽 ~ 060쪽
  • 다. 그러자 왕은 급히 각간(角干) 알천(閼川)·필탄(弼 呑) 등에게 명하여 정병(精兵) ..................................................................................................................................................
  • 061쪽 ~ 070쪽
  • 에 묘호(廟號)를 태종(太宗)이라고 했다. 태자 법민 (法敏)과 각간(角干) 인문(仁問)·..................................................................................................................................................
  • 071쪽 ~ 080쪽
  • (司稼正卿) 부여(扶餘) 융(隆)을 세워 웅진도독(熊津 都督)을 삼아 그 선조(先祖)의 제..................................................................................................................................................
  • 081쪽 ~ 090쪽
  • (明僧) 열두 명으로 하여금 명랑을 우두머리로 하여 문두루(文豆婁)의 비밀한 법(法)을 쓰..................................................................................................................................................
  • 091쪽 ~ 100쪽
  • 익선(益宣)의 밭에서 예(例)에 따라 부역(賦役)을 하 고 있습니다.” 낭은 밭으로 찾아가..................................................................................................................................................
  • 101쪽 ~ 110쪽
  • 만에 멎으니 상(賞)을 받은 사람도 제법 많았으나 죽 음을 당한 자도 수없이 많았으니, 표..................................................................................................................................................
  • 111쪽 ~ 120쪽
  • 둘째 공주에게 이제 쉽게 장가드실 수 있게 되신 것이 그 둘이요, 맏공주에게 장가를 드셨기..................................................................................................................................................
  • 121쪽 ~ 130쪽
  • 며, 부하들을 놓아 왕의 빈첩(嬪妾)들을 모두 욕보였 다. 왕의 족제(族弟)인 부(傅)를 ..................................................................................................................................................
  • 131쪽 ~ 140쪽
  • 제의 시조는 온조(溫祚)요, 그의 아버지는 추모왕(雛 牟王)인데 혹은 주몽(朱蒙)이라고도 ..................................................................................................................................................
  • 141쪽 ~ 150쪽
  • 년이요 신라 효공왕(孝恭王) 4년(900)이다. 정명(貞明) 4년 무인(戊寅; 918)에 ..................................................................................................................................................
  • 151쪽 ~ 160쪽
  • 을 알 수 없고, 일곱째는 좌승(佐承) 위흥(位興), 여덟 째는 태사(太師) 청구(靑丘)이..................................................................................................................................................
  • 161쪽 ~ 170쪽
  • 르러 중국에서 온 배가 대는 수로(水路)로 해서 갔다. 왕은 그가 머물러 있으면서 반란을 ..................................................................................................................................................
  • 171쪽 ~ 180쪽
  • 도(望山島)에서 말발굽을 급히 육지를 향해 달리고 뱃 머리를 둥둥 띄워 물 위로 서로 밀면..................................................................................................................................................
  • 181쪽 ~ 189쪽
     

    독자게시판  
    현재 독자게시글이 없습니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보호정책 | 문의하기 | (c) 2009 - 2023 OLIVEPEN ALL RIGHTS RESERVED